누리호 목적 역할 알아보자
목차
누리호 목적 및 역할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 게시물을 끝까지 읽으면 누리호 목적 및 역할을 이해하시게 될 것입니다. 누리호 목적 및 역할이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제 아래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누리호 목적 및 역할
테슬라의 스페이스X, 아마존의 블루 오리진, 버진그룹의 버진갤럭틱 등 이미 우주산업 헤게모니를 차지하기 위한 주요국들의 패권경쟁은 시작이 되었습니다. 각 기업들은 유인우주비행과 위성 발사 등 우주 연관 사업을 경쟁적으로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대한민국이 누리호 발사까지 성공을 시키며 한국도 우주 산업 진출에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은 위성 및 유인 우주선 발사 시 미국과 러시아에 의존했지만 이제는 별도의 도움 없이 미국이나 중국, 유럽 등 주요국들과 함께 우주개발에 동등한 선을 함께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누리호 발사는 한국의 우주 개발 성공을 넘어 글로벌 패권 경쟁 속 국가 안보와 자원안보를 이룰 수 있는 초석이라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전세계 206개 국가 중 10번째로 자력 발사를 성공한 우리나라의 기술은 과연 얼마나 대단한 걸까요?
그렇다면 앞으로 우주 개발을 통해 대체 무엇을 얻을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GPS입니다. GPS는 인공위성이 보내주는 신호를 통해서 우리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길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사실 GPS는 미국이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했으나 민간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개방을 했죠. 그런데 만약 미국이 GPS 위성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더 이상 무료로 제공하지 않고 비싼 사용료를 요구한다면 이는 큰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것입니다. 그래서 중국, 러시아, 유럽연합, 인도, 일본 같은 주요국들은 자체 GPS를 구축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KPS라 불리는 자체 GPS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위성들을 우리 손으로 우리가 원하는 때에 발사하려면 우주로켓 기술이 꼭 필요합니다.
두 번째는 달 탐사 및 희귀 광물 채취입니다. 미국은 1972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달에 사람들을 보내지 않았지만 2019년부터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라고 불리우는 유인 달 탐사 사업을 다시 시작하고 있습니다. 달 표면과 궤도에 인간이 장기 체류할 수 있는 기지를 건설하고 더 먼 우주를 탐사하기 위한 중간기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단순히 우주 탐사를 위해서만 달을 활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달을 중심으로 각종 연구와 경제적 활동도 계획하고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게 자원 채굴입니다. 달에는 헬륨3이라는 자원이 있습니다. 지구에는 거의 없지만 달에는 최소 100만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이 되고 있는데요. 헬륨3 1g의 열량은 석탄 30톤에 맞먹는 에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물질을 핵융합 발전에 활용하면 유해한 방사성 폐기물 없이 기존 원자력 발전의 5배 이상 효율로 달의 매장량 100만톤을 전부 지구로 들여올 경우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게 가능할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나 환경오염, 방사능의 문제 없이 모든 인류가 1만년간 사용하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달에는 희토류도 매장이 되어 있습니다. 희토류는 현재 인류가 만든 기계문명을 만들고 운영하는데 소량이지만 꼭 필요한 물질입니다. 광섬유, 스마트폰, 전기차, 텔레비전 등 안 쓰이는 곳이 거의 없습니다. 문제는 지구상의 희토류는 유한하며 수십 년 안에 고갈될 전망이고 현재 희토류의 90%가 중국에서만 생산이 되는데 중국은 이를 무기화할 의지를 지난해 미국과의 무역 분쟁에서 내비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자원의 고갈과 에너지 무기화를 막기 위해서라도 달 탐사를 통한 신규 자원 확보는 범세계적인 프로젝트로 진행이 될 것입니다.
세 번째는 국가 방위 산업의 성장입니다. 경제적 목적만을 위해 우주 개발을 하는 건 아닙니다. 우주 로켓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군사기술로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ICBM은 대기권 위로 올라갔다가 다시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면서 목표 장소에 떨어지는 미사일인데 과장을 좀 더 보태면 인공위성을 싣고 우주로 쏘아 올리면 우주로켓이 되는 것이고 핵탄두를 넣고 다시 지구로 떨어지게 하면 핵미사일이 되는 것입니다. 물론 몇 가지 차이점 때문에 우주로켓을 그대로 미사일에 활용할 순 없겠지만 이번 누리호 발사가 군사 기술력 향상에 일조할 수 있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결국 이번 한국의 누리호 발사 성공은 단순한 우주비행 기술의 진보뿐만 아니라 통신, 에너지, 국가안보 총 3가지의 중장기적 이익 선취라는 배경이 깔려 있습니다. 주요국들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우주산업의 패권 경쟁에서 한국 역시 동참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과 동시에 한국 항공우주항공산업의 기술력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죠. 우주로켓 개발은 철저한 보안 속에 개발되고 있습니다. 경제적 목적뿐 아니라 군사 무기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주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공간이고 그를 잘 활용한다면 현재 인류가 마주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헬륨3을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없는 무한 청정 에너지와 곧 고갈을 맞이할 희토류의 새 채굴원이 될 수 있죠. 본격적인 우주 개발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고 세계 각국은 이렇게 우주의 자원을 선취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나라가 우주 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것도 미래에 우주 개발을 두고 국가 간 경쟁이 본격화됐을 때를 위한 것입니다. 단순히 타 국가들의 우주 비행 능력을 따라잡기 위함을 넘어 곧 다가올 우주 산업에서 경쟁력을 가져야하기 때문입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병수당 지역 대상 상병수당금 알아보자 (13) | 2022.07.06 |
---|---|
파이어족 개념 뜻 유형 알아보자 (17) | 2022.07.04 |
터키 튀르키예 뜻 알아보자 (11) | 2022.07.01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kr 신청 대상 (8) | 2022.06.30 |
당질저감 당질저감제 알아보자 (16) | 202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