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구병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예방방법
목차
수족구병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자료를 끝까지 읽으면 수족구병을 알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수족구병의 정보가 필요하다면 전체 다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정의
수족구병은 손과 발의 발진과 입안의 궤양성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감영성 질환입니다. 주로 4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발생하는 이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 바이러스 A16이나 엔테로바이러스 71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으로 여름과 가을철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콕사키 A 바이러스 5, 6, 7, 9, 10, 콕사키 B 바이러스 2, 5도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엔테로바이러스 71은 뇌수막염이나 뇌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원인
수족구병은 주로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이나 수포의 진물 등으로 비말 감염 될 수 있으며 때로는 분변 등에서 경구로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비말 감염이란 감염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을 비말이라고 하는데 이 비말에 바이러스와 세균이 섞여 나와 타인의 입이나 코로 들어가 감염 되는 것을 말합니다. 수족구병에 감염된 환자와 접촉하면 약 4~6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발열, 권태감, 식욕 부진 등이 나타나면서 손과 발 그리고 입안에 수포나 궤양 등이 생깁니다.
증상
수족구병은 여름과 가을철에 흔히 발생하며 목젖 주변을 포함하는 연구개 부위에 점막 궤양이 잘 생깁니다. 그 외로는 혀와 볼 점막, 후부인두, 입술, 잇몸, 입천장 등에도 병변이 생길 수 있습니다. 궤양의 크기는 보통 3~8mm 정도이며 통증은 매우 심합니다. 큰 아이들은 심한 통증으로 입안이 맵다고 호소하기도 하며 영아기보다 어린 나이에 발병할 경우 음식을 아예 먹지 못하고, 침을 삼키지 못해 많은 침을 흘립니다. 발진은 주로 손등과 발등에 생기고 엉덩이와 사타구니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붉은색을 띤 물집 형태로 통증이나 가려움 등의 다른 증상은 거의 없고 1주일 정도가 지나면 호전됩니다. 고열이 동반되는 경우 해열제에도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고열이 심할 경우 열성 경련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진단
수족구병은 대개 증상과 피부 병변을 보고 진단합니다. 병변이 입에만 생긴 경우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과 감별해야 합니다. 신경계 증상이 있는 경우 인두 분비물, 뇌척수액, 대변 등을 채취하여 바이러스 배양검사를 통해 원인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비물을 통해 바이러스 검사를 해야 확진을 할 수 있는 이 검사는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실시하지 않습니다.
치료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에 의해서 생기는 질환이며 항바이러스제 등의 특별한 치료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 수족구병의 증상은 대부분 3~7일 이내에 사라지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호전이 됩니다. 증상이 심한 급성기에는 입안의 통증 때문에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지 못하여 탈수가 올 수 있으며 심하면 쇼크나 탈진 현상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아파하더라도 물을 조금씩 자주 먹어야 하며 먹는 양이 심하게 적어지면 입원을 하여 정맥으로 수액치료를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탈수 현상을 예방하여야 합니다. 심환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라면 그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합병증
수족구병의 원인 바이러스 중 엔테로바이러스 71번은 뇌수막염이나 뇌염의 원인이 됩니다. 비록 합병증의 가능성이 흔하지는 않지만 이 바이러스가 중추신경을 침범해 뇌수막염, 뇌염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으며 드물게 뇌간 뇌척수염, 신경인성 폐부종, 폐출혈, 쇼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에게 구토, 의식 저하,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로 병원에 가야합니다.
예방방법
기저귀를 갈고 난 후나 분변으로 오염된 물건을 세척하고 난 후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잘 씻기도록 해야 합니다. 환자 아이와의 신체 접촉을 제한함으로써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으며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발병 초기 수일간 어린이집 등의 집단생활에서 제외시키기도 합니다. 코와 목의 분비물, 침 그리고 물집의 진물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므로 환자와 접촉한 후 손을 잘 씻어야 합니다.
수족구병을 전달해드렸습니다. 읽어보니 어떠신가요?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하트(공감), 구독을 부탁드립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상속세 및 증여세 계산 (33) | 2022.08.01 |
---|---|
귀두 포피염 증상 치료 연고 사진 (14) | 2022.07.23 |
귀 뒤 멍울 혹 임파선 통증 피지낭종 (5) | 2022.07.18 |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테스트 , 자폐 스펙트럼 증상 (21) | 2022.07.13 |
도어스테핑 뜻 윤석열 대통령 잠정 중단 (16) | 2022.07.11 |